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는 일·가정 양립을 적극 지원합니다. 육아휴직급여가 월 최대 250만 원으로 대폭 인상되며, 사후지급방식 폐지로 지원이 더욱 강화됩니다.
2월 23일부터 시행되는 '육아지원 3법'(남녀고용평등법, 고용보험법, 근로기준법)은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옵니다. 부모가 각각 3개월 이상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휴직 기간이 1년 6개월로 확실히 늘어납니다. 한부모와 중증장애아동 부모는 조건 없이 1년 6개월 육아휴직이 보장됩니다. 배우자 출산휴가도 20일로 확대되며,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은 12세(초6) 이하 자녀까지 전면 확대됩니다.
건강한 임신을 위해 모든 가임기 남녀에게 든든한 건강관리 지원이 제공됩니다. 여성은 부인과 초음파·난소기능검사(AMH) 포함 검사에 최대 13만 원, 남성은 정액검사 포함 최대 5만 원의 실질적인 지원을 받습니다.
상습 임금체불 사업주에 대한 제재가 강화됩니다. 신용제재, 정부지원 제한, 공공입찰 불이익이 확실히 적용되며, 체불임금 미정산 시 출국이 제한됩니다. 명단 공개 후 재차 임금을 체불하면 반의사불벌죄 적용이 배제됩니다. 산재 근로자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으로 자녀 양육비 융자가 신설되어, 13세 미만 자녀가 있는 산재 근로자는 1세대당 최대 100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중장년의 성공적인 경력 전환을 위한 '중장년 경력 지원제'가 도입됩니다. 퇴직 중장년이 새로운 경력을 쌓고자 할 때, 1~3개월간의 체계적인 직무교육과 실무 경험을 제공하며, 참여자에게는 월 최대 150만 원의 든든한 수당이 지원됩니다.
'디지털의료제품법'이 1월 24일부터 본격 시행되어, 첨단 AI 기술이 적용된 디지털의료제품에 대한 체계적인 규제 시스템이 구축됩니다. 이를 통해 디지털의료제품의 신뢰성이 한층 강화되고, 국민들이 더욱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전주기 관리체계가 확립됩니다.
2025년 육아휴직 지원 변경사항 한눈에 보기
분야 | 시행일 | 주요내용 |
육아지원 | 2025.02.23 | • 육아휴직급여 월 최대 250만원으로 인상 |
• 부모 각각 3개월 이상 사용 시 총 1년 6개월 | ||
• 배우자 출산휴가 20일 | ||
건강관리 | 연중 | • 여성: 부인과 초음파, 난소기능검사 등 (최대 13만원) |
• 남성: 정액검사 등 (최대 5만원) | ||
근로자 보호 | 연중 | • 상습 임금체불 사업주 제재 강화 |
• 산재근로자 자녀 양육비 융자 최대 1000만원 | ||
중장년 지원 | 연중 | • 1~3개월 직무교육 및 실무경험 |
• 참여자 지원금 월 최대 150만원 | ||
의료제품 | 2025.01.24 | • AI 디지털의료제품 규제시스템 구축 |
• 전주기 관리체계 도입 |
※ 모든 내용은 2025년 기준입니다.
📢 월 최대 250만원의 육아휴직급여와 최대 1년 6개월의 휴직기간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경제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스 행운퀴즈 4월 23일 정답 모음 (2025년) (0) | 2025.04.18 |
---|---|
씨케이솔루션 공모주 청약 총정리 - 2025년 3월 IPO 대어 (0) | 2025.02.25 |
신한 쏠퀴즈 정답 2월 5일 (0) | 2024.02.05 |
비트버니 퀴즈 정답 2월 5일 (0) | 2024.02.05 |
KB Pay 오늘의퀴즈 정답 2월 4일 (0) | 2024.02.04 |
댓글